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또 오건영!] 10년만기 국채금리는 왜 중요한가요?
    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3. 21:34
    728x90

    출처: investing

     

     금융장세에서 실적장세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는 요즘,

     미국 10년만기국채금리 인상에 주가가 하락했다가

     다시 낮아지면 주가가 올라가기도 합니다.  

     

     특히 PER가 높은 기술주가 많이 흔들리지요.

     실적장세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금리가 뛰고 기술주가 조정받는 다는 것을 아프게 배우고 있어요. 

     (기술주 조정받는다고 신나게 줍줍했다가 급락하는 주가처럼 심장도 쫄아들어서 뜬 눈으로 밤을 지세우곤 했죠.ㅠㅠ)

     

     

     

     [달러/원 환율]

     금리가 올라가니 환율도 올라가네요. 

     

     

     

     

     

     

    Q. 10년만기 국채금리(시장금리)가 오른다는 이유로 왜 주식시장이 흔들릴까요?

     

    A.  미국 연준(FED)에서 기준금리 동결+10년 국채금리를 사주면서 시장금리까지 못 오르게 했었지요. 이걸 금융장세 혹은 유동성장세라고 부르는데요. 이례적인 돈풀기로 주가가 엄청나게 올랐지요. 근데 웬걸? 멈춰져 있는 줄 알았던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 거에요!

     

     뭐야 이거, 혹시 테이퍼링(연준이 돈풀기 그만하는 것) 하는 것이 아닌 가?

     2023년까지 금리 안 올린다고 하지만 나중에 뒤통수 칠 거라는 생각에 출렁출렁하고 있습니다.

     3월 FOMC에서 양적완화(10년짜리 국채매입하는 것) 더 사지는 않지만 유지 한다고 했는데 금리가 오르니까 거짓말 치지마! 이러다가 뒤통수 칠꺼지? 하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지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코로나 이후'를 생각하지 못했는데,

     (미국기준으로) 백신이 효과가 있고 바이든 미대통령은 5월까지 성인들 백신 전부 맞을 거라고 했죠.

     4월 2일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예측이 674K였는데 실제로는 916K로 엄청나게 잘 나왔죠. 

     

     

     [4월 2일 발표된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출처: investing

     TIP. 비농업고용지수: 농축산업을 제외한 전월 고용인구수 변화를 측정합니다. 일자리 창출은 ㄱㅇ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지출의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이며, 낮은 경우 부정적임을 의미합니다. 

     

    Q. 4월 4일에 달러/원 환율은 어떻게 될까요? 지표가 잘 나왔으니 오를까요? 

       고용이 좋아졌으니 채권금리 상승할텐데, 주가가 또 휘청휘청하겠죠..? 얼른 금리상승에 적응이 되어야 할 텐데...

       조금 긴장하고 있어야겠어요 ㅠㅠ 

     

     

     

     

     

    [4월 2일 발표된 미국 실업률]

     

    출처: investing

     

     TIP. 실업률: 미국 실업률은 지난 달 실업상태에 있으며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총노동력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봐 높은 경우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뜻이며, 낮은 경우 긍정적임을 의미합니다.

     

     Q. 실업률에서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이 중요한데요. 지금 실업률에 경기부양이 과하다는 의견에 연준의장 파월과 미재무부장관 옐런이 했던 말이 있지요.  구직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을 포함하면 더 실업률이 더 높다고요.  실업률이 더 낮아지지 않고 약간 주춤하고 있지만... 작년에 상반기에 비해 빠른 속도로 낮아지고 있는 걸 보니 진짜 경기가 좋아지긴 할 건가봐요. 

     

     

     

     

     4월 5일에 3월달 미국 ISM 비제조업고용지수가 나오는데, (50이상이면 서비스업종 고용을 많이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떻게 나올지 궁금합니다. 아마 백신효과로 좋게 나오겠지요?  

      

     

     곧 여행갈 수 있지 않을까? 단체외식, 단체모임도 가능하지 않을까? 백신 맞으면 마스크 벗어도 된다던데?

     이런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데 경제활동 활발히 하면 경기가 좋아질거고 원래 경기가 좋으면 금리가 올라가는 것이 정상이라 금리도 슬금슬금 오르고 있지요.

     

     근데 지금은 완전히 경기좋아지는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주가는 경기보다 선반영되어 오르기 때문에 진짜 좋아지는 것이 좋지 만은 않은 상황이 지금인 것 같습니다. 진짜로 경기 좋아지면 연준은 테이퍼링 할테니까요. 

     

     

     

     여기까지가 제 나름대로 공부하고 시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한 결과입니다.

     (틀린 점이 있다면 가르쳐주시면 열심히 배울게요!)

     

     

     

     

     

     

     

     TO. (혹시 제 포스팅을 볼 수도 있는) 주린이 여러분!

     

     제가 이 글을 쓴 목적은 제 생각도 적어보면서 발전하려는 것도 있지만 , 

     금리에 대해 잘 가르쳐주실 좋은 선생님을 소개하고 싶어서입니다.  

     

     바로 오건영 부부장님인데요.

     저는 금리를 이 분의 책으로 접했는데, 멘땅에 헤딩한거라 너무 어려워서 지금까지 12번을 읽었어요.  

     

     최근 오건영 부부장님께서 신한은행 유튜브에서 금리에 대해 강의를 하고 계신데요.

     책을 읽기 전에 이 강의를 먼저 봤다면 이해가 쉬웠으리라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링크 걸어놓을테니 꼭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오건영 부부장님 강의 복습할 겸, 덕질을 좀 할 예정인데

     제 나름대로 이해하고 정리한 내용을 올리겠습니다. 

     (글 작성 후 여기에 링크 걸어놓을게요 ㅎㅎ)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같이 열공해서 주린이에서 성공투자자로 진화해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