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주식투자에 있어서 운칠기삼이라는 것주린이의 덕질[비트판다] 2022. 7. 11. 00:38
운칠기삼: 사람이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모든일의 성패는 운에 달려있는 것이지 노력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투자를 하면서 운칠기삼이라는 용어를 꽤나 자주 듣는다. 운이 7, 노력이 3. 노력보다는 운이 더 따라야 한다는 말이다. 운칠기삼이라는 말이 맞다고 전제하고 내 생각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Q. 운칠기삼을 믿고 운만 바라면 과연 투자로 인해서 경제적 자유를 누릴수 있을까? A. 운칠기삼은 운 10, 노력 0의 비율이 아니다. 노력도 3은 들어가야한다. Q. 주식투자에 있어서 노력은 뭐라고 생각하나. A. 중앙은행의 스탠스 :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 경제위기: 금리인하+양적완화 : 이후 경제 진정되면 : 양적완화 중단 + 금리인상+ 양적긴축 이때 중앙은행의 속도조절이 ..
-
[또! 오건영] 30. 중국이 위안화 절상하려는 이유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1. 2. 08:38
chapter 1. 중국이 위안화 절상하려는 이유는? chapter 2. 중국은 절상과 절하 중 어느 쪽을 선택할까? 성장: 내수 or 수출 (수출을 하려면 설비투자가 필요함=> 달러차관(빌림)) 수출은 대외수요에 의존하는 것이다. = 글로벌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 중국: 해안선을 따라서 해안도시에서 수출함 해안에서 내륙 쪽으로 들어갈 수록 국가 내 빈부격차가 심해짐 => 내수 부양 내수는 소비를 많이해야함 1. 구매력 올라감(위안화 절상=위안화 강세) 2. 낮은 금리 (물가가 높으면 금리높여주는 것이 맞지만, 위안화강세니까 물가가 안정됨) 3. 위안화로 자본유입 증가 chapter 2. 중국은 절상과 절하 중 어느 쪽을 선택할까? 결국엔 내수를 키우기 위해서 절상이 맞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위안화 절상하..
-
[또! 오건영] 29강. 과주기 조절은 무엇인가?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1. 1. 08:38
chapter 1. 과주기 조절은 무엇인가? chapter 2. 중국이 과주기 조절을 도입한 이유는? 중국의 문제: 부동산, 기업부채 금리 낮아지면 = 통화가치하락 = 수요증가 = 부채 늘어남 // 즉, 부채부담증가 역주기 조절 긴축: 금리인상, 지준율인상 과주기 조절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 부채의 규모를 감축하고 싶을 때 그냥 감축시키는 것이 아니라 너무 빠르게 줄이면 경제 힘들어지니 그때는 대출을 늘려서 살려주고 괜찮아지면 누르고. chapter 2. 중국이 과주기 조절을 도입한 이유는? tip. 성장 : 내수 or 수출 수출은 외국이 사주는 지 여부가 중요하고 내수는 부채가 너무 많고 델타변이우려 : 델타변이 때문에 단기적으로 지준율인하를 해준 것
-
[또! 오건영] 28강. 지급준비율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31. 08:37
chapter 1. 지급준비율은 무엇이고 지급준비율 인하의 의미는? chapter 2.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면 중국 경제에 유리한가? 예금 -> 은행 -> 대출 1. 고객은 예금은 중도해지 할 수 있지만 대출은 은행이 중도해지 못한다. 2. 중도해지했을 때 은행이 돈을 주지 못하는 것 = 뱅크런 3. 따라서 자금 지급을 대비하기 위해 (중앙은행에) 쌓아놓는 자금 = 지급준비금 4. 100원 예금에 10원 지급준비금을 넣으면 지급준비율은 10% Q. 중국에서 지준율 인하했다는 말의 의미는? A. 지준율을 낮춰준다는 것은 100원 예금에 10원 넣던 것을 5원으로 낮춰준다는 말 (즉, 낮춰준만큼 시중에 돈이 풀린다) chapter 2.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면 중국 경제에 유리한가? 항상 그렇지만은 않다. 201..
-
[또! 오건영] 27강. 중앙은행은 왜 ESG를 신경쓸까?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30. 08:10
chapter 1. 중앙은행은 왜 ESG를 신경쓸까? chapter 2. 녹색 양적 완화란 무엇인가? 기후변화 2005 허리케인 '카트리나' -> 도시 봉쇄 2020 코로나 -> 경제 중단되고 문제 발생 -> 많은 부채 발견 2021 텍사스 눈 = 삼성공장 멈춤 대만 가뭄 = 반도체 생산 힘듦 글로벌 금융위기 : 금융기관의 빚이 많음 유럽 재정위기 : 유럽 국가가 빚이 많음 중국도 빚이 많다 우리나라도 가계부채 많다. 전세계가 빚이 많다. 모아놓은 돈이 있다면 살아남을 수 있지만, 빚이 많으면 파산 => 경제에 영구적인 상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중앙은행도 기후변화가 (부채가 많은 ) 경제에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함 chapter 2. 녹색 양적 완화란 무엇인가? 중앙은행 양적완화 : 국..
-
[또! 오건영] 26강. ESG는 경영과 투자에 어떻게 적용될까?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29. 08:49
chapter 1. ESG는 경영과 투자에 어떻게 적용될까? chapter 2. 투자자의 ESG 관심은 기업 경영도 바꿀까? 주가상승 : 기업의 성과 + 수급 ESG : 1. 투자의 컨셉 2. 지속가능한 성장 (재무가 좋을 뿐만 아니라 평판까지 좋아야) => 2번 강조 : 연기금등 해외투자기관이 ESG 반영 국민연금(=큰손) = ESG기준 도입해서 투자할거야 다른 투자자(펀드매니저 등) 도 ESG에 대해 생각하게 됨 개인투자자도 ESG에 대해 공부하게 됨 chapter 2. 투자자의 ESG 관심은 기업 경영도 바꿀까? 1. 기업이 돈을 조달하는 방법: 1. 자신의 자산 2. 회사채 3. 주식으로 투자금 받기 자금조달을 위해서 ESG 반영할 것이다.
-
[또! 오건영] 25강. ESG 투자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28. 08:36
chapter 1. ESG 투자는 무엇인가? chapter 2. ESG 투자는 괜찮을까? 1. Encironment : 환경 :최근 환경 섹터가 각광받고 있음 : 전기차, 태양 에너지 // 규제 : 규제준수하는 기업, 탄소배출권 2. Society : 사회 : 착한 기업 평판 (직원, 고객) -> 갑질기업, 불법, 평판무너뜨리는 기업 무너짐 3. Governance : 기업의 지배구조: 대주주의 이익만 대비하는 것이 아니라 소액주도 챙김 ( 배당, 투명성) chapter 2. ESG 투자는 괜찮을까? SRI: 사회책임기업에 투자 = 착한기업 = 성과 별로였음 ( 수익이 적게 나와서) 그 때 당시 투자 컨셉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1. 수익이 있는 기업 먼저 찾기 2. 착하지 않은 기업 제외
-
[또! 오건영] 24강. 환율의 변동성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28. 08:18
chapter 1. 다른 나라의 환율도 변동성이 클까? chapter 2. 한국의 원화가 안정적인 이유는? 다른나라에 비해 우리나라 환율은 변동성이 적은 편 2010.1.1 $1 = 1150 2021.7.말 $1= 1150 1300원 고점, 1000원 저점 터키 리라화 2010년 $1=2리라 2021년 $1=8.5리라 브라질 헤알화 2010년 $1=1.5헤알 2021년 $1=5.2헤알 chapter 2. 한국의 원화가 안정적인 이유는? 원화가치 지지 : 얼마나 많은 달러를 보유하고 있나? 1. 구조적인 무역흑자국 = 달러벌이 2. 상대적으로 양호한 재정적자 (미국도 GDP대비 100%, 우리나라 GDP대비 50%) 3. 외환보유고 세계 9위 1~3요인으로 우리나라 채권에 외국인투자 유입 = 달러유입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