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또! 오건영] 11강. 달러약세와 저유가시대
    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12. 08:45
    728x90

     

     

     

    chapter1.달러약세와 저유가시대

    chapter2.원유의 공급, 급상승한 이유?

     

     

     

     

     

     

     

     

     

    Q. 달러약세 맞나요? (주황색)

    A. 05~20년까지 길게 차트를 보면 달러약세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15년~20년을 보면 박스권 하단부라 달러약세로 볼수도 있다.

     

    TIP. 달러 인덱스 (DXY)

      선진국 통화대비 (유로화60%, 엔화, 영국... 등등) 달러 오르내림

      오르면 달러강세 , 내리면 달러약세

     

     

     

    Q. 저유가시대 맞나요? (파란색)

    A. 맞다. 차트로 봤을 때 유가는 떨어지고 있다. 수요가 줄어들었고 공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TIP. 07~08, 11~12년 이후 원유의 수요 감소 

     

    ① 금융위기 -> 경기부양 -> 원자재가격상승 + 중국이 전세계의 공장이라고 해서 원자재 사재기로 인해서 더욱더 상승 => 중국 과잉생산/과잉공급 : 과잉공급되면 가격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중국에서 원자재소비는 줄어듦

     

    ② 전세계적으로 부채가 많이 늘어서 소득이 늘어도 소비가 늘지 않는다. 즉 수요가 늘지 않아서 저성장이 장기화된다. ->  원유가격하락 

     

     

     

    TIP. 공급 증가 (셰일오일 + 대체에너지)

     

    ① 1970 년 석유파동이후 석유공급국가 많아짐

       70초반 1배럴 $2 -> 70후반 1배럴 $43달러로 뜀 (노르웨이, 멕시코, 소련 (러시아)) 

     

    ② 07~08년,  11~12년 유가 높았다.  -> 셰일오일 (미국, 캐나다), 러시아 등 OPEC외에 산유국 늘었다.

     

     

     

     

     

     

     

     <생각해보기>

     중국의 성장이 주춤거리고 있다.

     누군가 성장을 끌어줘야하는데, 코로나로 전세계적으로 경기가 약해져있다.

     

     결국 미국이 성장을 끌어줘야하는데 민주당에서는 엄청난 액수의 인프라투자를 앞두고 있다.

     이게 순조롭게되면 금리가 올라가도 강한성장이 나오면서 주식시장은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며칠전 미국의회에서는 미국부채한도를 12월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만약, 공화당에서 부채한도합의할 때 인프라투자에 대한 금액을 줄여버리고,, 민주당은 거기에 동의한다면?

     

     

     11월 UN기후변화협약이 있을 예정이라 이번 조정에서 친환경관련 투자를 했다.

     살 때는 나 이거 10년은 투자할거야 ! 더 모아갈거라고!

     호기롭게 사놓고선 조금 쫄린다...... 이래서 현금보유가 중요하구나.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