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
[또! 오건영] 7강. 인플레이션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20. 15:17
chapter1. 최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 chapter2. 일시적 물가상승 중앙은행의 대처는? chapter1. 최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 1. 기저효과: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지금 인플레이션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코로나로 휘청거렸던 20년 3~4월과 21년 3~4월은 주가로 보자면 저점과 고점의 갭이라고 봐도 될 것 같다. ex. 2020년 3~4월 주가 2021년 3~4월 주가를 비교해보면 20년 3월에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엄청많이 빠진 상황에서, 21년 3월을 비교해보면 더더욱 많이 오른 것 처럼 보이는 것 비교대상이 악재로 많이 빠졌던 달이거나, 혹은 호재로 많이 올랐던 달이라면 그 +갭 혹은 -갭이 커질 수 밖에 없다. 2..
-
[또! 오건영] 6강 FOMC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19. 06:15
chapter 1. FOMC란 무엇인가? chapter 2. 점도표란 무엇인가? chapter 1. FOMC란 무엇인가? TIP.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 : 금융통화위원회 하는 일: FOMC는 우리나라의 금융통화위원회처럼 통화정책을 결정한다. 인원: 17명의 위원 중 12명이 통화정책결정 기간: 45일마다 하며 1년기준 8번정도 (=금통위) TIP. 베이지북: 미국의 경제동향 분석 TIP. FOMC 스케줄 확인: 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omc.htm 날짜 뒤에 * 붙어있는 3월, 6월, 9월, 12월은 경제에 대한 전망을 한다. chapter 2. 점도표란 무엇인가? Projection Materials에 점도표인 dot plot이 있다. Lo..
-
[또! 오건영] 5강. 미국금리가 국내 경제와 금융에 주는 영향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18. 14:34
chapter 1. 미국 금리가 국내 경제에 주는 영향 (미국 수출의존도 높은 우리나라) chapter 2. 미국 금리가 국내 금융에 주는 영향 (외국인은 미국금리와 한국금리를 비교해보고 투자한다) chapter 1. 미국 금리가 국내 경제에 주는 영향 (미국 수출의존도가 높아서 큰 영향받음) TIP. GDP성장률 = C(소비) + I (투자) + X (수출) TIP. 우리나라는 투자와 수출로 성장하고, 미국은 소비가 성장의 70%를 차지한다. 따라서 미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미국금리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음! TIP. 가처분소득(지출가능한 소득) = 임금 - (대출이자, 생활비) Q. 미국에 수출을 많이 할 수 있는 상황은 언제인가? A. 임금오르고, 이자부담 적고, 생활비 적게 들 때 chap..
-
[또! 오건영] 4강. 금리인하의 부작용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17. 19:36
chapter1. 금리인하의 부작용 (부채증가와 자본유출) cahpter2. 실효하한의 의미 (금리인하 계속할 시 장점보다 단점이 더 커질 가능성) chapter1. 금리인하의 부작용 (부채증가와 자본유출) tip. 금리인하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가진다. 1. 부채증가 금리인하 → 저금리가장기화될거라는합리적인기대→ 대출 많아짐 → 부채 증가→중장기경제에부담 tip. 가계부채가 많아질 수록 물가가 빠르게 올라도 금리인상하기가 부담스러움. 2. 자본유출 Q. 만약, 한국금리가 2%인데 미국금리가 3%라면? A. 미국에 투자 하는 것이 유리하니 거기로 자본유출! tip. 자본유출: 한국자산매각→대량원화확보→달러구매→원화가치하락→수입물가상승→인플레이션 cahpter2. 금리의 실효하한의 의미 금..
-
[또! 오건영] 3강.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어떤 상황에서 움직이는가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17. 10:11
TIP.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 인하, 동결한다. chapter 1. 한국은행의 목표 :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기준금리 인상과 인하) chapter 2. 코로나상황에서 한국은행의 대처 (인상이유와 인하이유가 공존할 때 기준금리동결) chapter 1. 한국은행의 목표 :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기준금리 인상과 인하) 1. main: 물가안정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예방) ①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이 오면 중앙은행 대응방법: 기준금리 올리기 물가안정시기 2020년 2021년 A물건가격 100원 103원 현금보유 100원 100원 *현금보유시 A물건 못삼 =구매력 보존이 되지 않음 대안: 현금을 은행에 예금하고 이자를 받으면 A물건 살 수 있음 인플레이션 시기 2020년 2021년 A물건가격 100원 ..
-
[또! 오건영] 2강.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16. 23:32
2강.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chapter1.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정의 chapter2. 화폐의 공신력과 구축효과의 정의 chapter1.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정의 (+ 실질금리) 1. 기준금리 : 중앙은행이 공신력있는 초단기금리로 통제하는 금리 TIP. 한국은행: 7일 만기 초단기금리로 기준금리 조정함 연준(FED): 1일 만기 초단기금리로 기준금리 조정함 2. 시장금리 : 대내적인 돈의 값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움직이는 금리 cf) 환율: 대외적인 돈의 값 (나중에 글쓰게 되면 링크걸게요!) TIP. 돈의 수요가 많다: 돈을 빌리는 사람이 많다. 따라서 돈의 가치가 올라가고 금리가 올라간다. 돈의 수요가 적다: 돈을 빌리는 사람이 적다. 따라서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금리가 내려간다. TIP. 돈의..
-
[또! 오건영] 1강. 채권금리과 가격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4. 23:05
[또! 오건영] 1강. 채권금리과 가격 chapter1. 채권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chapter2. 금리 인상이 단기채, 장기채에 주는 영향 chapter1. 채권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채권가격과 채권금리는 반비례한다. ex) 채권가격하락 -> 채권금리상승 ex) 채권가격상승 -> 채권금리하락 chapter2. 금리 인상이 단기채, 장기채에 주는 영향 금리인상영향: 장기채 > 단기채 단기채의 경우 장기채보다 만기가 짧으니 오른 금리로 재투자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다.
-
[또 오건영!] 10년만기 국채금리는 왜 중요한가요?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3. 21:34
금융장세에서 실적장세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는 요즘, 미국 10년만기국채금리 인상에 주가가 하락했다가 다시 낮아지면 주가가 올라가기도 합니다. 특히 PER가 높은 기술주가 많이 흔들리지요. 실적장세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금리가 뛰고 기술주가 조정받는 다는 것을 아프게 배우고 있어요. (기술주 조정받는다고 신나게 줍줍했다가 급락하는 주가처럼 심장도 쫄아들어서 뜬 눈으로 밤을 지세우곤 했죠.ㅠㅠ) [달러/원 환율] 금리가 올라가니 환율도 올라가네요. Q. 10년만기 국채금리(시장금리)가 오른다는 이유로 왜 주식시장이 흔들릴까요? A. 미국 연준(FED)에서 기준금리 동결+10년 국채금리를 사주면서 시장금리까지 못 오르게 했었지요. 이걸 금융장세 혹은 유동성장세라고 부르는데요. 이례적인 돈풀기로 주가가 엄청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