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
[또! 오건영] 13.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같이 오르는 이유는?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10. 17. 10:59
chapter 1.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같이 오르는 이유는? chapter 2. 금리 상승시 투자전략 chapter 1.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같이 오르는 이유는? 물가가 오르는 원인 2가지 : 1. 수요증가 2.공급감소 1. 수요증가 = 기업마진커짐 = 설비투자증가(고용 증가=소비증가=물가상승) = 대출 늘어남(돈 빌리려는 사람많으니 금리 더주는 사람한테 돈빌려주고 싶음) = 금리인상 = 주가상승 결론: 수요증가 = 설비투자증가=(대출증가로 인해) = 금리인상 수요증가 = 설비투자증가=(고용증가로 인해 소비증가) = 금리인상 주가상승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성장이 더 크게 나오기 때문에) TIP. 물가와 금리의 관계 채권 : 구매력 보존을 위해서 나옴 (3강 내용 첨부) 2. 공급감소로 인한 물가상승 ..
-
[또! 오건영] 7강. 인플레이션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20. 15:17
chapter1. 최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 chapter2. 일시적 물가상승 중앙은행의 대처는? chapter1. 최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 1. 기저효과: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지금 인플레이션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코로나로 휘청거렸던 20년 3~4월과 21년 3~4월은 주가로 보자면 저점과 고점의 갭이라고 봐도 될 것 같다. ex. 2020년 3~4월 주가 2021년 3~4월 주가를 비교해보면 20년 3월에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엄청많이 빠진 상황에서, 21년 3월을 비교해보면 더더욱 많이 오른 것 처럼 보이는 것 비교대상이 악재로 많이 빠졌던 달이거나, 혹은 호재로 많이 올랐던 달이라면 그 +갭 혹은 -갭이 커질 수 밖에 없다. 2..
-
[또! 오건영] 3강.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어떤 상황에서 움직이는가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17. 10:11
TIP.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 인하, 동결한다. chapter 1. 한국은행의 목표 :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기준금리 인상과 인하) chapter 2. 코로나상황에서 한국은행의 대처 (인상이유와 인하이유가 공존할 때 기준금리동결) chapter 1. 한국은행의 목표 :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기준금리 인상과 인하) 1. main: 물가안정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예방) ①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이 오면 중앙은행 대응방법: 기준금리 올리기 물가안정시기 2020년 2021년 A물건가격 100원 103원 현금보유 100원 100원 *현금보유시 A물건 못삼 =구매력 보존이 되지 않음 대안: 현금을 은행에 예금하고 이자를 받으면 A물건 살 수 있음 인플레이션 시기 2020년 2021년 A물건가격 100원 ..
-
[또! 오건영] 1강. 채권금리과 가격주린이의 덕질 [오건영]/또!오건영 2021. 4. 4. 23:05
[또! 오건영] 1강. 채권금리과 가격 chapter1. 채권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chapter2. 금리 인상이 단기채, 장기채에 주는 영향 chapter1. 채권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채권가격과 채권금리는 반비례한다. ex) 채권가격하락 -> 채권금리상승 ex) 채권가격상승 -> 채권금리하락 chapter2. 금리 인상이 단기채, 장기채에 주는 영향 금리인상영향: 장기채 > 단기채 단기채의 경우 장기채보다 만기가 짧으니 오른 금리로 재투자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다.